본문 바로가기

경제 용어/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경제금융용어 700선] 012. 간접금융/직접금융

SMALL

 간접금융/직접금융 

 

간접금융(indirect financing)

경제에는 자금 잉여주체와 자금 부족주체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들 사이에 은행이나 저축은행 신용협동기구 등 금융기관이 개입하여 자금을 중개하는 방식이다.

즉 금융기관이 일반 대중으로부터 예금을 받아 이를 자신의 명의로 기업 등 다른 경제주체에게 대출해 주는 방식이다. 

 

직접금융(direct financing)

주식, 채권 발행의 경우와 같이 자금수요자가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 금융시장에서 직접 필요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다.  

 

 

 간접금융에서는 은행이 중추적인 기능을 하고,

직접금융에서는 주식과 채권이 거래되는 자본시장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직접금융과 간접금융은 상호 경쟁적일 뿐만 아니라 보완적이기도 하므로 두 금융방식이 균형적으로 발전될 필요가 있다.

 

 이상적인 직접금융&간접금융의 상대적 비중: 해당 국가의 경제발전단계나 경제구조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중소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일수록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간접금융이 더 중요하고,

혁신산업에 의해 주도되는 경제일수록 동 산업 지원에 유리한 직접금융의 역할이 더 중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시장이 발달함에 따라 직접금융 비중이 높아진다.

 


연관

 

 금융제도 

금융거래에 관한 체계와 규범을 총칭하는 개념

금융시장, 금융기관, 금융기반구조(infra-structure)로 구분된다. 

 

① 금융시장: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간에 금융거래가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정보시스템 등 추상적 공간을 포함하는 개념.

 

② 금융기관: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간에 거래를 성립시켜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체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은행,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금융투자업자, 보험회사 및 기타 금융기관으로 구분된다.

 

③ 금융기반구조:

금융기관의 인가 및 경영, 재산권 보호 등을 규정하는 법령과

금융시장의 거래준칙, 금융거래 및 금융기관 업무를 지원하고 감시하는 각종 기구를 포함한다.

기반구조를 이루는 주요 기구로는 중앙은행, 지급결제기구, 금융감독기구, 예금보험기구 등이 있다.

 

 장기금융시장(자본시장) 

 

[금융시장]

 

  • 금융기관 여부를 기준으로

 

간접금융시장: 은행 등 금융중개기관을 통하여 예금, 대출 등의 형태로 자금이전이 이루어지는 시장

 

직접금융시장:주식, 채권 등 증권을 통해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간에 직접적인 자금이전이 이루어지는 시장

 

  • 거래 금융상품의 만기를 기준으로 

 

단기금융시장(money market): 금융기관, 기업 등 경제주체들이 단기적인 자금수급 불균형을 조절하기 위하여

통상 만기 1년 이내의 단기 금융상품을 거래하는 시장

이 시장은 기업의 시설 자금이나 장기운전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발행되는 주식, 채권 등이 거래되는 자본시장에 대응하여

자금시장이라고도 불린다.

 

자본시장(capital market): 만기 1년 이상의 장기채권이나 만기가 없는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

자본시장은 주로 기업, 정부 등 자금 부족부문이 자금 잉여부문으로부터 장기적으로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데 활용되고 있어

장기금융시장이라고 부른다.

 

  • 우리나라의 자본시장

주식시장: 주식 거래

채권시장: 국채, 회사채 및 금융채 등 거래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