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용어/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경제금융용어 700선] 015. 감응도계수

SMALL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 감응도계수

생산유발계수를 이용하여 각 산업 간의 상호의존관계의 정도를 

전산업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크기로 표시한 것

 

전방연쇄효과는 감응도계수를 이용하여 파악한다. 

 

감응도계수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한 단위씩 증가하였을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

즉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전산업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내는 계수

 

(해당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행의 합계) / (전산업의 평균)

 

 철강을 예로 든다면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이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철강 품목의 생산을 유발하는데, 

 

감응도계수란 이때 철강의 생산유발의 정도를 전산업 평균과 비교한 것으로 

(철강에서의 생산유발의 정도) / (전산업 평균)

 

따라서 석유정제와 같이 그 제품이 각 산업 부문에 중간재로 널리 사용되는 산업일수록 감응도계수가 크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