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 감응도계수
생산유발계수를 이용하여 각 산업 간의 상호의존관계의 정도를
전산업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크기로 표시한 것
전방연쇄효과는 감응도계수를 이용하여 파악한다.
감응도계수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한 단위씩 증가하였을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
즉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전산업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내는 계수
(해당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행의 합계) / (전산업의 평균)
철강을 예로 든다면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이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철강 품목의 생산을 유발하는데,
감응도계수란 이때 철강의 생산유발의 정도를 전산업 평균과 비교한 것으로
(철강에서의 생산유발의 정도) / (전산업 평균)
따라서 석유정제와 같이 그 제품이 각 산업 부문에 중간재로 널리 사용되는 산업일수록 감응도계수가 크다.
LIST
'경제 용어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700선] 017. 거시건전성 정책 (0) | 2025.04.05 |
---|---|
[경제금융용어 700선] 016. 갑기금(Capital A) (0) | 2025.04.04 |
[경제금융용어 700선] 014. 감독자협의회 (0) | 2025.04.02 |
[경제금융용어 700선] 013. 간접세/직접세 (0) | 2025.04.01 |
[경제금융용어 700선] 012. 간접금융/직접금융 (0) | 2025.03.31 |